open all | close all

제례순서(祭禮順序)

현대식 제례순서

1. 신위봉안
     (神位奉安)
제상 위에 흰 종이를 깔고 제수를 진설한 뒤, 지방을 써서 붙인다. 제주가 분향하고, 모사에 술을 부은 뒤 제주와 참사자가 일제히 신위 앞에 두 번 절한다.  
배례 때 남자는 왼손을 오른손 위에 올려 놓는다. 
여자는 반대로 오른손을 왼손 위에 올려 놓는다.
2. 초헌(初獻) 고인에게 첫 술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술잔을 채워 두 손으로 받들고 향불 위를 거쳐 밥그릇과 국그릇 사이 앞쪽에 놓는다. 집사가 없이 제주 혼자가 해도 무방하다.
잔을 올린 뒤 두 번 절한다. 
3. 독축(讀祝) 초헌이 끝나면 제주는 축문을 읽고 두 번 절한다. 축문을 읽는 동안 다른 참사자들은 모두 꿇어 앉아 머리를 약간 숙이고 경건한 마음으로 듣는다.
4. 아헌(亞獻) 축문 읽기가 끝나면 주부가 두 번째 술잔을 올리고 네 번 절한다.
5. 종헌(終獻) 제주의 근친자가 세 번째 술잔을 올리고 두 번 절한다. 
나머지 근친자가 모두 돌아가며 술잔을 올리고 절한다.
6. 삽시(揷匙) 제수를 많이 드시라고 비는 의미로 숟가락을 밥에 꽂고 모든 참사자가 고개를 숙여 묵념한다.
7. 헌다(獻茶) 숭늉(혹은 냉수)을 국과 바꾸어 놓고, 수저로 밥을 조금씩 세 번 떠서 물에 만 다음 수저를 물 그릇에 가지런히 놓고 잠시 국긍하고 서 있다가 일어난다.
8. 사신(辭神) 참사자 일동이 일제히 신위 앞에 큰절을 올린다.
안녕히 가시라는 작별 인사를 드리는 것이다.
9. 철상(撤床) 지방을 거두어 축문과 함께 불사르고, 상을 물린다.
10.음복(飮福) 참사자들이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음복을 함으로써 조상님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俗信)이 있다.


 

전통 제례순서

1.  영신(迎神) 먼저 대문을 열어 놓는다.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고례(古禮)에는 출주(出主)라 하여 사당에서 신주(神主)를 모셔 내려오는 의식이 있었다.
2.  강신(降神)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고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
집사가 제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른다.
제주는 두 손으로 잔을 들고 향불 위에서 세번 돌린 다음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번 붓는다.
빈잔을 집사에게 다시 건네주고 일어나서 두번 절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에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고,모사에 술을 따르는 것은 땅 아래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참고: 배례 때 남자는 왼손을 오른손 위에 올려 놓는다. 여자는 반대로 오른손을 위에 올려 놓는다.
3.  참신(參神)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모든 참석자가 일제히 두 번 절한다.
신주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하고 지방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미리 제찬을 진설 하지 않고 참신 뒤에 제찬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기도 한다.
진찬 때는 주인이 육(肉) 어(魚) 갱(羹)을 올리고 주부가 면(麪) 편(餅) 메(飯)를 올린다.
4.  초헌(初獻) 제주가 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한다.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붇는다.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 세번 돌리고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다음 두 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그것을 받아서 메 그릇과 갱 그릇 사이의 앞쪽에 놓고 제물 위에 젓가락을 올려 놓는다. 제주는 두 번 절한다.
잔은 합설인 경우 고위(考位) 앞에 먼저 올리고 다음에 비위(妣位) 앞에 올린다.
집안에 따라서는 술을 올린 뒤 메 그릇의 뚜껑을 연다.
5.  독축(讀祝) 초헌이 끝나고 참석자가 모두 꿇어 앉으면 축관이 옆에 앉아서 축문을 읽는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되는데, 엄숙한 목소리로 천천히 읽어야 한다.
축문 읽기가 끝나면 모두 일어나 두 번 절한다. 과거에는 독축 뒤에 곡을 했다.
6.  아헌(亞獻) 두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가 올린다.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절차는 초헌 때와 같으나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는다.
주부는 네번 절한다.
7.  종헌(終獻)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와 같이 한다.
잔은 7부쯤 부어서 올린다.
8.  첨작(添酌)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나가 앉으면 집사는 술 주전자를 들어 종헌 때 7부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 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9.  삽시정저
   (揷匙正著)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 메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메 그릇의 중앙에 꽂는다.
젓가락을 고른 뒤 어적이나 육적위에 가지런히 옮겨 놓는다.
숟가락은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삽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한다.
(첨작과 삽시정저의 두 절차를 통틀어 유식이라 하는데 이는 진지를 권하는 의식이다.)
10. 합문(闔門) 참사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기다린다.
대청 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 내려가 읍(읍)한 자세로 잠시 기다린다.
단칸방의 경우에는 제자리에 엎드려 몇 분 동안 있다가 일어난다.
11. 계문(啓門) 닫았던 문을 여는 절차이다.
축관이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들어가면 참사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간다.
12. 헌다(獻茶) 갱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뒤 메 세 술을 떠서 물에 말아 놓고 저를 고른다.
이때 참사자는 모두 머리를 숙이고 잠시 동안 조용히 앉아 있다가 고개를 든다.
13. 철시복반
   (撤匙覆飯)
숭늉그릇에 있던 수저를 거두어 제 자리에 놓고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15. 사신(辭神)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서 철시복반 다음 좌집사가 제주앞으로 다가가 제주와 같이 읍을 하고 "이성(利成)" 이라고 고한후 모두 방에서 나와 참사자가 신위 앞에 일제히 두 번 절하고, 제주는 다시 신위앞에 꿇어앉아 집사가 내려주는 술잔을 받아 마시고, 지방과 축문을 불태운다.
지방은 축관이 모셔 내온다.
신주일 때에는 사당으로 모신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16. 철상(撤床) 제상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뒤쪽에서부터 차례로 물린다.
17. 음복(飮福)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음복을 끝내기 전에는 제복을 벗거나 담배를 피워서는 안된다.
고례에는 준(준)이라 하여 참사자 뿐 아니라 가까운 이웃들에게 제사 음식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했다.

 

출처:  사진으로 보는 가정의례 (조선일보사)

엮인글 :
이 게시물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 축문 쓰는법 file ChungFamily 2009-05-30 25357
27 국어 로마자 표기법 ChungFamily 2009-06-24 19605
26 10간(干), 12지(支), 60갑자(甲子), 세차(歲次), 월건(月建), 일진(日辰), 시진(時辰) ChungFamily 2009-08-08 12599
25 묘소(墓所)의 좌향(坐向) ChungFamily 2009-06-01 8944
24 보첩(譜牒)의 일반상식(一般常識) ChungFamily 2009-06-30 4614
23 삼국시대 ~ 현대 년표 ChungFamily 2012-01-14 4322
22 지방 쓰는법 file ChungFamily 2009-05-30 4235
21 유네스코 등재 우리나라 세계기록유산. ChungFamily 2013-07-24 4023
20 가족 호칭 ChungFamily 2009-05-30 3783
19 경조문 쓰는법 ChungFamily 2009-05-31 3727
18 만세력 / 월별음양력표(천문연구원) 비교 file ChungFamily 2012-01-05 3685
17 계촌법(系寸法) file ChungFamily 2009-05-30 2924
16 제사의 종류 ChungFamily 2009-05-30 2709
15 만세력 / 三國時代 年曆表 비교 ChungFamily 2012-01-05 2705
14 족보 상식 ChungFamily 2009-05-30 2683
13 제수(祭需)의 진설 file ChungFamily 2009-05-30 2579
12 고금관작대조표(古今官爵對照表) ChungFamily 2009-05-31 2429
11 代 와 世 ChungFamily 2015-04-06 2427
10 종사(宗事)에 관한 상식(常識) ChungFamily 2009-05-31 2325
9 년도대조표 (고려조 - 현대) ChungFamily 2009-06-04 2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