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ll | close all

 제수(祭需)의 진설


제사상차림(진설법)이란 마련된 제기와 제수를 제상에 격식을 갖추어 배열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제수 진설법(祭羞陳設法)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사 상차림의 양태가 지방마다 가정마다 각기 달라 일명 ‘가가례(家家禮)’라 할 만큼 다양하다.
이처럼 제수 진설이 다양한 것은 각종 예서에 나타나는 진설법이 각각 다르다는 데 가장 큰 원인이 있다.
그러나 상차림의 기본원칙은 공통적이며 관행적으로 지켜지고 있는 격식이 있다.

제사 상차림의 기본원칙은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의 좌우를 바꿔놓고 좌우의 균형을 잡는 데에 있다.

제사에서는 신위가 놓인 곳을 북쪽으로 한다. 신위의 오른쪽은 동쪽, 신위의 왼쪽은 서쪽이다.(제사지내는 사람의 편에서 보면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이다.)

제상 앞에서 맨 앞줄에 과실, 둘째줄에 포,나물, 셋째줄에 탕, 넷째줄에 적과 전, 다섯째줄에 메와 갱의 순서로 진설한다.

촛대는 양쪽에, 떡은 동쪽에 진설하고, 면은 서쪽에 진설한다. 향로, 향합, 모사기, 축판, 제주를 준비한 후 제사를 시작한다.

조상의 제사를 모실 때 배우자가 있을 경우 두 분을 함께 모신다. 즉 아버지의 기일에 어머니도 함께 모신다. 그런데 이때는 두 분의 제사를 하나의 제상에 함께 지낸다.   합설은 밥, 국, 술잔만 따로 차리고 기타의 제수는 공통이다.

고비각설(考妣各設)은 내외분이라고 남자 조상과 여자 조상의 상을 따로 차리는 것이고 고비합설(考妣合設)은 남자 조상과 여자 조상을 한 상에 차리는 것이다.

 

 진설(陳設)하는 방법

제수진설.gif

다섯째줄 반과 갱을 놓는 줄로서 반은 서쪽에 갱은 동쪽에 놓고 편은 동쪽에 놓고 면은 서쪽에 놓는다.
잔서초동(盞西醋東)은 술잔은 서쪽에 놓고 초접은 동쪽에 놓아야 하고, 천산양수(天産陽數)는 하늘에서 나는 것으로 홀수로 진설 하야야 하며,
지산음수(地産陰數)라 하여 땅에서 나는 것은 홀수로 진설 하여야 하며, 부접불기(附接不記)라 하는 것은 주된 음식에 붙이는 조미료(설탕, 초장, 소금, 겨자 등)는 따로 기록되지 않았으나 주된 음식에 붙여 놓으면 된다.
넷째줄 적(炙)과 전(煎)을 진설하는 줄로서 적이라 함은 불에 굽거나 찐 것을 말하며 전은 기름에 튀긴 것으로 어로 만든 것을 어적, 어전, 이라하며 육으로 만든 것을 육적이라 한다.
어동육서(魚東肉西)라 하여 어류는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진설 하고 또 동두서미(東頭西尾)라 하여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를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계적, 어적, 조기적, 생선포와 같이 등과 배가 있는 제수는 바르게 놓을 때는 등이 위로 가고 뉘어 놓을 때는 배가 신위 쪽으로 가게 놓는다.
그러나, 지방과 가문에 따라 등이 아래로 가고 배가 위로 가게 뉘어 놓는 경우도 있다.
또 인모우(鱗毛羽 : 비늘, 털, 날개)의 차례로 한꺼번에 제물을 진설 하는 경우는 밑에 비늘이 있는 물고기를 괴고 그 위에 털이 있는 쇠고기 돼지고기등을 괴고 가장 위에 날개가 있는 닭 등을 괴어 진설한다. 또 어, 육, 날개를 각각 제기에 담아 진설 하기도 한다.
셋째줄 탕(湯)을 진설하는 줄로서 관작 여하에 따라 3탕, 5탕을 써 왔다.
어탕은 동쪽에 육탕은 서쪽으로, 소탕(素湯)은 가운데 진설 한다.
둘째줄 서포동혜(西脯東醯)라 하여 포는 서쪽에 놓고 식혜는 동쪽에 놓되 마른 것은 서편에 놓으며 젖은 것은 동편에 진설한다.
좌포우혜라는 말을 써 왔는데 해석여하에 따라 신위 본위로 좌, 우로 말하는 경우도 있고 또한 참사자 본위로 좌, 우로 말하여 혼란이 많다.
그래서 성균관에서는 좌포우혜라는 말 대신에 서포동혜라는 용어를 쓰기로 하였다.
나물류 즉 침채(沈菜), 청장(淸醬), 숙채(熟菜)는 가운데에 진설한다.
제상을 바라볼때 맨 앞줄 과실이나 조과(造菓)를 놓는 줄인데 지방과 가문에 따라 홍동백서(紅東白西) 또는 조율시이(棗栗枾梨), 조율이시(棗栗梨枾)로 진설하는데
홍동백서로 진설하면 붉은 과실은 동쪽에 흰 과실은 서쪽에 진설하고 중앙에 조과를 놓되 이것도 붉은 조과는 동쪽에 흰 조과는 서쪽에 진설한다.
조율시이(조율이시)라 하여 목실(木實)과 조과(造菓)를 따로 목실은 서쪽으로 조과는 동쪽으로 진설하는 가문도 있다.
또 맨 앞줄은 과실과 조과의 줄이니 과실로는 기본4과(대추, 밤, 배, 감)인 목과를 서쪽부터 차례로 진설하고 다음에 기본4과외의 목과(木果), 만과(蔓果), 초과(草果), 조과(造果)의 순으로 진설하기도 한다. 목과(木果)에는 기본4과외에 은행, 앵두, 사과, 석류, 바나나, 밀감, 파인애플 등 쳐다보는 나무에 달린 과실이고, 만과(蔓果)에는 포도, 멀구, 다래, 토마토 등이 있는데 줄기에 달려 있는 과실이고, 초과(草果)에는 딸기, 참외, 수박 등 땅위에 붙은 과실이다.
조과(造果)는 손으로 만든 과자류를 말하는데 유과, 전과, 약과, 다식, 엿 등이 있으며 조과의 으뜸은 유과로서 최상위에 놓기도 한다.
과일진설은 각자의 가례대로 할 것이다.



제수 진설의 일반원칙

제수 진설의 일반 원칙 제수의 진설은 각 지방의 관습이나 풍속, 그리고 가문의 전통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그래서 가가례(家家禮)라고도 하며 '남의 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하고 참견 말라'는 풍자적인 말까지 나오게 된 것이다.
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아 오른쪽을 동(東), 왼쪽을 서(西)라 한다.
진설의 순서는 맨 앞줄에 과일, 둘째 줄에 포와 나물, 셋째 줄에 탕(湯), 넷째 줄에 적(炙)과 전(煎), 다섯째 줄에 메와 갱을 차례대로 놓는다.
조율시이(棗栗枾梨) 왼쪽에서부터 대추, 밤, 감, 배의 순으로,
흥동백서(紅東白西)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생동숙서(生東熟西) 김 치는 동쪽에, 나물은 서쪽에.
좌포우해(左脯右醯) 포는 왼쪽에, 젓갈은 오른쪽에.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두동미서(頭東尾西) 생선의 머 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건좌습우(乾左濕右)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접동잔서(楪東盞西)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우반좌갱(右飯左羹) 메는 오른쪽에, 갱은 왼쪽에.
남좌여우(男左女右) 제상의 왼쪽은 남자(考位), 오른쪽은 여자(妣位).
 

 출처:  사진으로 보는 가정의례

첨부
엮인글 :
이 게시물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 축문 쓰는법 file ChungFamily 2009-05-30 25344
27 국어 로마자 표기법 ChungFamily 2009-06-24 19604
26 10간(干), 12지(支), 60갑자(甲子), 세차(歲次), 월건(月建), 일진(日辰), 시진(時辰) ChungFamily 2009-08-08 12594
25 묘소(墓所)의 좌향(坐向) ChungFamily 2009-06-01 8944
24 보첩(譜牒)의 일반상식(一般常識) ChungFamily 2009-06-30 4614
23 삼국시대 ~ 현대 년표 ChungFamily 2012-01-14 4322
22 지방 쓰는법 file ChungFamily 2009-05-30 4232
21 유네스코 등재 우리나라 세계기록유산. ChungFamily 2013-07-24 4022
20 가족 호칭 ChungFamily 2009-05-30 3783
19 경조문 쓰는법 ChungFamily 2009-05-31 3727
18 만세력 / 월별음양력표(천문연구원) 비교 file ChungFamily 2012-01-05 3685
17 계촌법(系寸法) file ChungFamily 2009-05-30 2923
16 제사의 종류 ChungFamily 2009-05-30 2709
15 만세력 / 三國時代 年曆表 비교 ChungFamily 2012-01-05 2705
14 족보 상식 ChungFamily 2009-05-30 2682
» 제수(祭需)의 진설 file ChungFamily 2009-05-30 2577
12 고금관작대조표(古今官爵對照表) ChungFamily 2009-05-31 2429
11 代 와 世 ChungFamily 2015-04-06 2425
10 종사(宗事)에 관한 상식(常識) ChungFamily 2009-05-31 2325
9 년도대조표 (고려조 - 현대) ChungFamily 2009-06-04 2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