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ll | close all

<유네스코 등재 우리나라 세계기록유산>

1.훈민정음
세종 28년(1446)에 정인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설명한 한문해설서를  전권 33장 1책으로 발간했는데, 이 책의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했다.

- 훈민정음해례본:
한글창제가 상형원리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현존본은 1940년경 경북 안동 어느 고가에서 발견된 것으로서 국내에서 유일한 귀중본이다.

한글과 같이 일정한 시기에 특정한 사람이 이미 존재한 문자에 직접 영향을 받지 않고 독창적으로 새 문자를 만들고 한 국가의 공용문자로 사용하게 한 일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일이다.

새 문자에 대한 해설을 책으로 출판한 일 역시 역사적인 일이었다. 특히, 문자를 만든 원리와 문자사용에 대한 설명에 나타나는 이론의 정연함과 엄정함에 대해서 세계의 언어학자들이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유네스코에서 문맹퇴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세종대왕상을 주는 것은이 책의 문화 사적 의의를 나타낸다.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돼 있으며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으로 등록됐다.


2.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의 시조인 태조부터 철종까지 25대 472년간 (1392~1863)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책이며 총 1,893권 888책으로 돼있어 가장 오래되고 방대한 양의 역사서이다.

- 조선왕조실록:
500여 년간의 왕정에 대한 기록이 하나의 체계 아래에 기록되었다는 사실은 동아시아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드문 일이다.

조선시대의 정치, 외교, 군사, 제도, 법률, 경제, 산업, 교통, 통신, 사회, 풍속, 미술, 공예, 종교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을 망라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그 유례가 없는 귀중한 역사 기록물인 조선왕조실록은 그 역사기술에 있어 매우 진실성과 신빙성이 높은 역사기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와 함께 일본, 중국, 몽고 등 동아시아 제국의 역사연구, 관계사 연구에도 귀중한 기본자료이기도 하다.
정족산본 1,181책, 태백산본 848책, 오대산본 27책, 기타 산엽본 21책을 포함해서 총 2,077책이 일괄적으로 국보 제 151호로 지정돼 있으며,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됐다. 


3.직지심체요절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백운화상이 1372년(고려 공민왕 21)에 원나라에서 받아온 불조직지심체요절 1권의 내용을 대폭 늘려 상·하 2권으로 엮은 것으로, 역대 고승들 간의 문답과 경전을 엮어 학승(學僧)들이 최고과정에서 배우던 교재였다. 

- 직지심체요절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세계 최고 금속 활자제작의 근거를 인정 받은 동시에 원산지와 소유국이 다른 약탈 문화재들도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에 등재될 수 있다는 좋은 선례를 남겼다. 

현재는 하권만이 유일하게 프랑스 국립도서관 동양문헌실에 특별 귀중본으로 보관돼있다.
하권은 39장으로 이뤄져 있는데, 첫째 장은 없고 2장부터 39장까지 총 38장만이 보존되고 있다.
책의 끝부분에는 간행에 관계된 기록이 있어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1450년 독일의 쿠텐베르크가 발명한 금속활자보다 약 73년이나 앞선 것임을 증명하고 있다.

직지심체요절은 금속활자를 이용해 인쇄술을 보다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교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줬다.
이 모든 것은 책의 신속한 생산에 공헌했다. 또한, 활자 인쇄술에 적합한 기름먹을 발명하는 계기가 됐으며, 한국이 혁신한 실용적인 활판 인쇄술은 동양 인쇄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 유럽등지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01년 9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됐다


4.승정원일기
승정원은 조선 정종대에 창설된 기관으로서 국가의 모든 기밀을 취급하던 국왕의 비서실이라 할 수 있는 곳이다.
승정원일기는 일기 형식으로 조선 건국 초부터 정리됐으나, 조선전기분(朝鮮前期分)은 임진왜란등으로 대부분 소실됐고 현재는 3,243책만이 남아 있다.

- 정치, 경제, 외교, 문화, 법제, 사회, 자연 현상, 인사, 국왕과 관료의 동정, 국정 논의가 광범위하게 기록돼있어 한국학 연구의 보고라 할 수 있는 승정원일기는, 국사연구 뿐만 아니라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외교, 문화, 군사등 모든 학문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조선왕조 최대의 기밀 기록인 동시에 그 사료적 가치에 있어서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비변사등록과 같이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에 자랑할 만한 자료다.

특히,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실록을 편찬할 때 기본 자료로 이용했기 때문에 실록보다 오히려 가치 있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원본 1부밖에 없는 귀중한 자료로 국보 제303호(1999년 4월 9일)로 지정돼 있다.
이는 세계 최대 및 1차 사료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1년 9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됐다


5.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
고려대장경판(팔만대장경)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정확하고, 가장 완벽한 불교 대장경판으로 산스크리트어에서 한역된 불교대장경의 원본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 고려대장경판은 이미 사라진 초기 목판제작술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는 한편, 고려시대의 정치, 문화, 사상의 흐름과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역사기록물이기도 하다.

인도 및 중앙아시아 언어로 된 경전, 계율, 논서, 교리 및 불교와 관련된 역사적 기록물을 집대성해 한역한 내용과 더불어 중국어가 원문인 일부 문헌을 선정하여 수록하고 있다.

- 해인사에 소장되고 있는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
87,000여장의 목판은 1098년부터 1958년까지의 오래 시간에 걸쳐 완성된 경판들로써 국가제작판과 사찰제작판으로 나뉜다.
국가제작판은 고려대장경으로 81,258판 5,200여 만자에 달하고, 사찰제작판은 5,987판이다.

고려대장경판은 이미 사라진 초기 목판제작술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는 한편, 고려시대의 정치, 문화, 사상의 흐름과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역사기록물이기도 하다.

경판 표면에는 옻칠을 하여 글자의 새김이 760년이 지나도록 생생한 상태로 남아 현재까지 인쇄할 수 있을 정도이다.
해인사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은 2007년 6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6.조선왕조 의궤
의궤는 국가 중요 행사를 행사 진행 시점에서 작성한 조선왕조의 기록물이다.
같은 유교문화군에 속하는 중국, 일본, 베트남 등에서는 의궤의 체계적인 편찬이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 조선왕조 의궤는 600여년전의 생활상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희소성을 가지고 있다.
총 3,895 여권의 방대한 분량에 이르는 의궤는 조선시대 600여년에 걸친(1392-1910) 왕실의 주요한 의식이 시기별, 주제별로 정리돼있어서, 조선왕조 의식의 변화 뿐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를 비교연구 및 이해하는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귀중한 자료다.

특히, 반차도, 도설 등 행사모습을 묘사한 시각 콘텐츠는 오늘날 영상자료처럼 당시 모습을 입체적으로 생동감 있게 보여준다.  이런 시각중심(visual-oriented)의 기록유산은 뛰어난 미술장인과 사관의 공동작업을 통해서만 만들어질 수 있다는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조선왕조 의궤는 2007년 6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7.동의보감
1613년 한국에서 집필된 의학적인 지식과 치료기술에 관한 백과사전이다.
왕의 지시 하에 여러 의학 전문가들과 문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허준이 편찬한 동의보감은 동아시아 의학의 발전 뿐 아니라, 많은 부분에 영향을 줬다.

- 우리나라 최초의 의학백과사전인 동의보감은 동양의학의 총체적 접근법을 담고 있는, 매우 귀중한 가치를지니고 있다.
예를들어, 19세기까지는 유래가 없었던 예방 의학과 함께 국가적으로 이뤄지는 공공 보건정책에 대한 관념을 세계 최초로 구축했다.

한국적인 요소를 강하게 지닌 동시에, 일반 민중이 쉽게 사용가능한 의학지식을 편집한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의서라는 점을 인정받은 동의보감은 2009년 7월 31일 마쓰우라 유네스코 사무청장이 바베이도스(Barbados) 브리지타운(Bridgetown)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9차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회의의 권고를 받아들여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승인했다.

전문가들은 동의보감이 질병 치료와 관련해 정신적·심리적 측면을 강조하는 동양의학의 ‘총체적 접근법’을 담고 있어, 단순한 기술적인 가치를 넘어 사회적·철학적 가치가 인정된다고봤다.  아울러 초간본 동의보감이 이상적인 보존 환경에 놓여 있다는 점도 높이 평가했다.  2009년 7월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8.일성록
1760년(영조 36) 1월부터 1910년(융희 4) 8월까지 조선후기 151년간의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들이 기록되어 있는 일기체의 연대기이다. 

『일성록』의 모태가 된 것은 정조(正祖)는 세손(世孫) 시절부터 직접 자신의 언행과 학문을 기록한 일기인 『존현각일기』였다. 정조는 『논어(論語)』에서 증자(曾子)가 말한 “나는 날마다 세 가지 기준을 가지고 스스로에 대해 반성한다”에 깊은 감명을 받아 일찍부터 자신을 반성하는 자료로 삼기 위해 일기를 작성하였다. 

1776년 즉위 후에도 직접 일기를 작성하던 정조는 직접 처결할 국정 업무가 점차 늘어나 일기 작성이 어려워지자 1783년(정조 7)부터 규장각 관원들이 시정(施政)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일기를 작성하고, 작성된 일기를 5일마다 왕에게 올려 재가를 받도록 하였다. 이로써 『일성록』은 국왕의 개인 일기에서 공식적인 국정 일기로 전환되었다. 

『일성록』이 현재와 같은 체재를 갖춘 것은 1785년(정조 9)경이다. 정조는 규장각에 명하여 자신이 탄생한 후부터 『존현각일기』에 이르기까지 기간의 일기 및 자신이 즉위한 이후에 기록된 『승정원일기』등을 기본 자료로 하여 일목요연한 체재를 갖춘 일기를 편찬하도록 명하였고, 책의 제목은 ‘일성록(日省錄)’으로 하였다. 그 결과 1760년(영조 36) 1월부터의 일기가 일정한 체제에 맞추어 정리되었다. 

『일성록』은 『조선왕조실록』·『승정원일기』·『비변사등록』과 함께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관찬 연대기라는 점, 다른 연대기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은 정치적 사건이나 사회 상황 등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2011년 5월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9.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등재명은 '인권기록유산-1980년 5월 18일 군사정권에 대항해 광주에서 일어난 민주항쟁 관련 기록물'이다. 2010년 1월 광주 지역 인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위원회'가 같은 해 3월 등재 신청서를 제출한 이후 보완과 수정을 거쳐 2011년 5월 24일 영국 맨체스터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에서 등재를 권고하기로 결정하였고, 5월 25일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공식 발표하였다.

이 기록물은 ① 정부·전남도청·광주시청·광주경찰서 등 공공기관이 생산한 5·18 민주화운동 자료, ②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자료와 군사법기관 재판 자료, ③ 시민들이 생산한 성명서·선언문·취재수첩과 시민들의 일기, ④ 사진 자료와 흑백필름, ⑤ 시민들의 기록과 증언, ⑥ 피해자들의 병원 치료기록, ⑦ 국회의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회의록, ⑧ 국가의 피해자 보상 자료, ⑨ 미국의 5·18 관련 비밀해제 문서 등 총 9개 주제로 분류되어 있으며, 5·18 민주화운동의 발발과 진압 그리고 이후의 진상 규명과 보상 등의 과정을 편철 4271권 85만 8904페이지, 흑백필름과 사진 2017컷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에 담고 있다.

이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것은 5·18 민주화운동이 한국의 민주화는 물론 필리핀·태국·베트남 등 아시아 여러 나라의 민주화운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민주화 과정에서 실시한 진상 규명과 피해자 보상 사례 등도 여러 나라에 좋은 선례가 되었다는 점 등이 높이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이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한국이 보유한 세계기록유산 가운데 고문서가 아닌 현대사 자료로는 처음이라는 점, 문화재청 등 정부기관이 아닌 민간기구의 주도로 등재에 성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은 2011년 5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10. 난중일기

'난중일기'는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 1월 이후부터 1598년 11월, 노량해전에서 전사하기 직전까지 7년 동안의 기간을 총 망라해 기록하고 있다.  임진일기, 계사일기, 갑오일기, 병신일기, 정유일기, 무술일기 등의 친필본 7책이다.

국난을 극복해낸 수군사령관으로서 충무공의 엄격하고도 지적인 진중생활을 평이한 문장으로 기록하고 있다. 특히 그 내용을 요약해 보면, 유비무환의 진중생활, 인간 이순신의 적나라한 모습과 생각, 부하를 사랑하고 백성을 아끼는 마음, 부하에 대한 사심없는 상벌의 원칙, 국정에 대한 솔직한 간언, 군사행동에 있어서의 비밀 엄수, 전투상황의 정확한 기록, 가족·친지·부하장졸·내외 요인들의 내왕 관계, 정치·군사에 관한 서신교환 등이 수록되어 있다.

IAC는 임진왜란 기간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쓴 친필일기인 '난중일기'가 "개인의 일기 형식 기록이지만 전쟁 기간에 해군의 최고지휘관이 직접 매일 매일의 전투 상황과 개인적 소회를 현장감 있게 다루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나 세계사적으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기록물"이라고 평가했다.
난중일기는 2013년 6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11. 새마을운동 기록물

새마을운동기록물은 정부와 주민이 협력해 빈곤퇴치, 생활환경 개선, 영농의 과학화, 정신혁명, 리더십 개발 등 성공적으로 달성한 한국 근대화의 증언이다.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이 1970년부터 1979년까지 추진한 새마을운동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물을 모은 것으로, 여기에는 대통령의 연설문과 결재문서, 행정부처의 새마을 사업 공문, 마을 단위의 사업서류, 새마을지도자들의 성공사례 원고와 편지, 시민들의 편지, 새마을 교재, 관련 사진과 영상 등 2만2천여 건의 자료가 포함돼 있다.
즉, 새마을운동이 어떻게 계획되고 진행됐으며,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를 사실 그대로 보여주는 원본이자 1차 자료인 셈입니다.

새마을운동기록물에 담긴, 주민참여를 통한 농촌개발은 일찍이 국제사회로부터 효과적인 빈곤퇴치 방안이자 대외원조 대안으로 인정받아왔다.  1970년대부터 2011년까지 129개국에서 5만3천명이 방한해 새마을교육을 받았을 뿐 아니라 UN 세계식량기구와 UN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 등은 빈곤퇴치 모델로 새마을운동을 채택했다. 이 밖에도 2010년까지 18개 국가에서 157개 새마을사업이 전개되는 등 새마을운동기록물은 개발도상국의 새마을운동 학습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새마을운동기록물은 2013년 6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12. 한국의 유교책판

한국의 유교책판은 305개 문중에서 기탁한 책판 718종 6만4천226장으로 구성된다. 내용은 유학자의 문집, 성리학 서적, 족보·연보, 예학서(禮學書·예법에 관한 책), 역사서, 훈몽서(訓蒙書·어린아이를 위한 책), 지리지 등이다.
조선시대 유교책판을 만든 지역 지식인들은 문중, 학맥, 서원, 지역사회로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꾸려 '공론(公論)에 의한 공동체 출판'을 진행했다. 책판들은 현재 경북 안동에 있는 한국국학진흥원 수장고에 보관돼 있다.
이 기록물은 국가가 아닌 각 지역의 지식인 집단들이 시기를 달리해 만든 것으로, 수록 내용도 문학을 비롯해 정치·경제·사회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도덕적 인간의 완성’이라는 하나의 일관된 주제를 통해 스승의 학문을 후학이 이어받고 이를 더욱 보완·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이 16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500여 년간 지속해서 이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집단지성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그 뛰어난 가치를 인정받았다.
한국의 유교책판은 2015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13.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KBS가 1983년 6월30일 밤부터 11월14일 새벽까지 방송기간 138일, 방송시간 453시간 45분에 걸쳐 생방송한 기록물이다. 이 기록물은 비디오 녹화원본 테이프 463개와 담당 프로듀서 업무 수첩, 이산가족이 직접 작성한 신청서, 일일 방송진행표, 큐시트, 기념음반, 사진 등 2만522건의 기록물로 구성돼 있다.
우리나라의 비극적인 냉전 상황과 분단으로 인한 이산가족의 아픔이 고스란히 담긴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기록물로, 지구상에 한국전쟁과 같은 비극이 또다시 발생해서는 안 된다는 평화의 메시지를 세계에 알림으로써 주요 등재기준인 진정성, 독창성, 세계적 중요성에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아 등재됐다.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은 2015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총 13건으로 아시아 최다보유국==
2015년 10월 2건의 세계기록유산 추가 등재로 우리나라는 ▲ 훈민정음(1997년) ▲ 조선왕조실록(1997년) ▲ 직지심체요절(2001년) ▲ 승정원일기(2001년) ▲ 조선왕조의궤(2007년) ▲ 해인사 대장경판과 제경판(2007년) ▲ 동의보감(2009년) ▲ 일성록(2011년) ▲ 5·18 관련 기록물(2011년) ▲ 난중일기(2013년) ▲ 새마을운동기록물(2013년) 등 기존의 세계기록유산 11건 함께 총 13건의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게 돼 기록문화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2015년까지 일본및 중국의 세계기록유산 등재현황은 아래와 같다.

일본 (JAPAN) : 총 5건 
건축물에 있어서 상당수의 유산을 세계 유산으로 등재시킨 것에 비해 기록 유산은 숫자가 부족한 편이며 이는 한국의 경우와 대비된다.    한국, 그 중에서도 조선이 얼마나 기록문화가 발달했었는지 상대적으로 가늠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 사쿠베이 야마모토 컬렉션 / Sakubei Yamamoto Collection (야마모토가(家) , 2011)
  • 미도간파쿠키(御堂関白記): 헤이안 시대의 세도 권력가였던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일기(2013)
  • 케이쵸유구사절관계자료(慶長遣欧使節関係資料): 다테 마사무네가 유럽의 선교사를 통해 
    스페인 국왕과 로마 교황에게 파견한 사절과 관련된 문서(2013)
  • 마이즈루 항구로의 귀환(2015). 시베리아에 억류됐던 일본군 포로의 귀환 관련 자료
  • 교토의 사찰인 도지(東寺)에 소장된 고문서(2015)

중국 (CHINA) : 총 10건 
중국에는 모두 10개의 세계기록유산이 있다.    한국보다 적다는 사실에는 그리 신경 쓸 필요 없다. 
수많은 문화유산과 서적 등이 파괴당하고 소멸된 문화대혁명으로 대부분의 기록자료가 소실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그 만행을 겪고도 문서가 남았다는 사실이 놀라울 지경이다.  
  • 중국 전통 음악 녹음 자료 / Traditional Music Sound Archives (중국 예술원 음악연구소 , 1997) 
  • 청 왕조 내각 문서 / Records of the Qing’s Grand Secretariat (중국 제1 역사기록관 , 1999) 
  • 나시(納西)민족 동바(東巴) 고문헌 자료 / Ancient Naxi Dongba Literature Manuscripts (중국 윈난성 기록보관소 , 2003) 
  • 청 왕조 금방(金榜) / Golden Lists of the Qing Dynasty Imperial Examination (중국 국가기록국 , 2005) 
  • 청 왕조의 양시 레이(样式 雷) 기록물 / Qing Dynasty Yangshi Lei Archives (중국 국립도서관 , 2007) 
  • 본초강목 / Ben Cao Gang Mu <本草纲目>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중국중의학연구원 도서관 , 2011) 
  • 황제내경 / Huang Di Nei Jing <黄帝内经> (Yellow Emperor’s Inner Canon) (중국 국립도서관 , 2011)
  • 원 후기의 티베트 관련 문서(2013)
  • 화교 관련 자료(2013)
  • 난징(南京) 대학살 문건(2015). 

출처: 인터넷
엮인글 :
이 게시물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 代 와 世 ChungFamily 2015-04-06 2425
» 유네스코 등재 우리나라 세계기록유산. ChungFamily 2013-07-24 4022
26 역대 왕조별 재왕위 년표 (신라 - 조선) ChungFamily 2012-01-18 2212
25 삼국시대 ~ 현대 년표 ChungFamily 2012-01-14 4322
24 만세력 / 월별음양력표(천문연구원) 비교 file ChungFamily 2012-01-05 3685
23 만세력 / 三國時代 年曆表 비교 ChungFamily 2012-01-05 2705
22 10간(干), 12지(支), 60갑자(甲子), 세차(歲次), 월건(月建), 일진(日辰), 시진(時辰) ChungFamily 2009-08-08 12594
21 보첩(譜牒)의 일반상식(一般常識) ChungFamily 2009-06-30 4614
20 국어 로마자 표기법 ChungFamily 2009-06-24 19604
19 년도대조표 (고려조 - 현대) ChungFamily 2009-06-04 2285
18 묘소(墓所)의 좌향(坐向) ChungFamily 2009-06-01 8944
17 분묘(墳墓)의 치산(治山)에 대한 물명(物名) ChungFamily 2009-06-01 2090
16 종사(宗事)에 관한 상식(常識) ChungFamily 2009-05-31 2325
15 고금관작대조표(古今官爵對照表) ChungFamily 2009-05-31 2429
14 24 절기 ChungFamily 2009-05-31 2249
13 경조문 쓰는법 ChungFamily 2009-05-31 3727
12 계촌법(系寸法) file ChungFamily 2009-05-30 2923
11 가족 호칭 ChungFamily 2009-05-30 3783
10 제례(祭禮) ChungFamily 2009-05-30 2093
9 제사의 종류 ChungFamily 2009-05-30 2709